fon.zip파일안에 패치파일 까지 함게 들어있다.
나중에 hfs.exe를 실행할때 fon폴더 안에 넣고 실행해야 한다..
putty.exe프로그램은 ssh,telnet을 쓰기 위해서 사용한다.
처음 fon공유기를 설치하고 접속을 해서 fon공유기의 펌웨어가 몇 버전인지 알아본다.
대략 192.169.10.1 그리고 컴퓨터 내부 아이피를 설정한다면 ..168.254.255.1로 접속을 할수 있다.
처음 fon공유기를 접속해보면 0.7.1.r2버전이던가..이었다.. 그럼 그상태에서 fon를 뒤집어 보면 밑에 리셋버턴이 있다.
리셋버턴을 30~50분정도...하다가ㄱ귀찬으시면 60초까지 해도 된다.. 저도 60초까지 했다..그냥 눌르다 보니 -ㅅ-;;
그리고 fon공유기가 다시 부팅한후 접속을 해보면 0.7.0.r4버전으로 낮아 진것을 보게 될것이다..
내부 아이피를 설정해줄때 네트워크 - 로컬영역 상태 - 속성 - tcp/ip등록정보 - 다음 아이피 사용하기를 눌러 설정한다.
IP- 168.254.255.2
255.255.0.0
168.254.255.1
DNS - 168.254.255.1
88.198.165.155 (해주어도 되고 안해주어도 된다.)
그런후 hfs를 fon폴더 안에 넣은후 실행 시킨다음 openwrt-ar531x-2.4-vmlinux-CAMICIA.lzma와 out.hex를 /밑 (즉 루트밑)부분에드래그 해서넣어 줍니다.
나중에 putty에서 파일을 불러와서 넣어주기 위해서 입니다. 한마디로 하자면 미니 파일서버? ftp서버랄까..
그런후 putty를 실행시켜서 168.254.255.1로 게이트웨이 아이피를 입력해서 fon으로 접속합니다 이때 사용할것은 ssh입니다.포트번호는 22번이니 변경하지 않아도 됩니다.
putty로 접속이 안될때는 sshenable.html을 눌러보시면 확인을 눌러보시면 fon의 내부 아이피를 적을수 있는 부분으로 이동해줍니다.그러면 위에 내부 아이피와 동일하게 적어 넣어주시면 됩니다.
그런후 다시 접속을 하시면 경고 창이 뜨게 되는데 이때 yes를 눌러 주시면 됩니다.
fon은 기본적으로 리눅스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무선 공유기때문에 기본적인 리눅스 명령어가 사용할수 있습니다.
자 그러면 접속하면 로그인을 하라는데 root / admin을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접속후 처음 하실일은 삭제 명령어를 실행 시켜 줍니다.
mv /etc/init.d/dropbear /etc/init.d/S50dropbear
기본적으로 앞에 있는 dropbear 파일은 있는데 뒤에 있는 S50dropbear은 없더군요.. 그래도 그냥 하라고 해서 실행은 시켰습니다.
reboot 명령어로 다시 부팅하게 하였습니다.
부팅이 끝나면 다시 접속을 합니다. 접속할때 cmd -ping 명령어로 완전히 살아나 았는지 확인해본다..
다시 putty를 실행시킨다.
cd /tmp 명령어를 입력해서 tmp폴더로 이동합니다
wget http://169.254.255.2/openwrt-ar531x-2.4-vmlinux-CAMICIA.lzma wget명령으로 아까 실행해 놓은 hfs에서 openwrt-ar531x-2.4-vmlinux-CAMICIA.lzma을 다운받는다.
mtd -e vmlinux.bin.l7 write openwrt-ar531x-2.4-vmlinux-CAMICIA.lzma vmlinux.bin.l7 mtd는 플래쉬 메모리에 영구적으로 기록할수 있게 해주는 블록 디바이스 드라이버이다..
reboot 다시 재 부팅을 실행 한다.
접속할때 cmd -ping 명령어로 완전히 살아나 았는지 확인해본다..(사실 굳이 안해도 된다..)
다시 putty를 실행 시켜서
cd /tmp tmp폴더로 이동한다
wget http://169.254.255.2/out.hex 요번에는 out.hex 파일을 받아 온다.
fon.zip파일안에 패치파일 까지 함게 들어있다.
나중에 hfs.exe를 실행할때 fon폴더 안에 넣고 실행해야 한다..
putty.exe프로그램은 ssh,telnet을 쓰기 위해서 사용한다.
처음 fon공유기를 설치하고 접속을 해서 fon공유기의 펌웨어가 몇 버전인지 알아본다.
대략 192.169.10.1 그리고 컴퓨터 내부 아이피를 설정한다면 ..168.254.255.1로 접속을 할수 있다.
처음 fon공유기를 접속해보면 0.7.1.r2버전이던가..이었다.. 그럼 그상태에서 fon를 뒤집어 보면 밑에 리셋버턴이 있다.
리셋버턴을 30~50분정도...하다가ㄱ귀찬으시면 60초까지 해도 된다.. 저도 60초까지 했다..그냥 눌르다 보니 -ㅅ-;;
그리고 fon공유기가 다시 부팅한후 접속을 해보면 0.7.0.r4버전으로 낮아 진것을 보게 될것이다..
내부 아이피를 설정해줄때 네트워크 - 로컬영역 상태 - 속성 - tcp/ip등록정보 - 다음 아이피 사용하기를 눌러 설정한다.
IP- 168.254.255.2
255.255.0.0
168.254.255.1
DNS - 168.254.255.1
88.198.165.155 (해주어도 되고 안해주어도 된다.)
그런후 hfs를 fon폴더 안에 넣은후 실행 시킨다음 openwrt-ar531x-2.4-vmlinux-CAMICIA.lzma와 out.hex를 /밑 (즉 루트밑)부분에드래그 해서넣어 줍니다.
나중에 putty에서 파일을 불러와서 넣어주기 위해서 입니다. 한마디로 하자면 미니 파일서버? ftp서버랄까..
그런후 putty를 실행시켜서 168.254.255.1로 게이트웨이 아이피를 입력해서 fon으로 접속합니다 이때 사용할것은 ssh입니다.포트번호는 22번이니 변경하지 않아도 됩니다.
putty로 접속이 안될때는 sshenable.html을 눌러보시면 확인을 눌러보시면 fon의 내부 아이피를 적을수 있는 부분으로 이동해줍니다.그러면 위에 내부 아이피와 동일하게 적어 넣어주시면 됩니다.
그런후 다시 접속을 하시면 경고 창이 뜨게 되는데 이때 yes를 눌러 주시면 됩니다.
fon은 기본적으로 리눅스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무선 공유기때문에 기본적인 리눅스 명령어가 사용할수 있습니다.
자 그러면 접속하면 로그인을 하라는데 root / admin을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접속후 처음 하실일은 삭제 명령어를 실행 시켜 줍니다.
mv /etc/init.d/dropbear /etc/init.d/S50dropbear
기본적으로 앞에 있는 dropbear 파일은 있는데 뒤에 있는 S50dropbear은 없더군요.. 그래도 그냥 하라고 해서 실행은 시켰습니다.
reboot 명령어로 다시 부팅하게 하였습니다.
부팅이 끝나면 다시 접속을 합니다. 접속할때 cmd -ping 명령어로 완전히 살아나 았는지 확인해본다..
다시 putty를 실행시킨다.
cd /tmp 명령어를 입력해서 tmp폴더로 이동합니다
wget http://169.254.255.2/openwrt-ar531x-2.4-vmlinux-CAMICIA.lzma wget명령으로 아까 실행해 놓은 hfs에서 openwrt-ar531x-2.4-vmlinux-CAMICIA.lzma을 다운받는다.
mtd -e vmlinux.bin.l7 write openwrt-ar531x-2.4-vmlinux-CAMICIA.lzma vmlinux.bin.l7 mtd는 플래쉬 메모리에 영구적으로 기록할수 있게 해주는 블록 디바이스 드라이버이다..
reboot 다시 재 부팅을 실행 한다.
접속할때 cmd -ping 명령어로 완전히 살아나 았는지 확인해본다..(사실 굳이 안해도 된다..)
다시 putty를 실행 시켜서
cd /tmp tmp폴더로 이동한다
wget http://169.254.255.2/out.hex 요번에는 out.hex 파일을 받아 온다.